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50

CPI(소비자물가지수) 알아보기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 CPI)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이다. 일상 소비생활에 필요한 상품 및 서비스를 구입하기 위해 지불하는 가격의 변동을 측정해 주는 소비자물가지수는 일반국민들의 일상생활에 직접 영향을 주는 중요한 경제지표의 하나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통계청에서 매월 작성하여 공표한다. 통계청은 현재 전국 37개 도시에서 481개의 상품 및 서비스 품목을 대상으로 소비자구입가격을 조사하여 기준시점인 2010년의 소비자물가 수준을 100으로 한 지수 형태로 작성 · 공표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물가지수는 경기를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거나, 화폐의 구매력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물가지표로서 매년 정부의 재정 · 금융정책이.. 2023. 3. 13.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49"주주행동주의" 주주행동주의(Shareholder activism) 주주들이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를 말한다. 배당금이나 시세차익에만 주력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부실 책임 추궁, 구조조정, 경영투명성 제고 등 경영에 적극 개입해 주주가치를 높이는 행위 등이 이에 속한다. 한편, 주주행동주의자(shareholder activist)들은 이를 실천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주주행동주의 장점 CEO 독단적 행동 견제 주주행동주의는 CEO의 독단적 행동을 견제할 수 있다. 의욕적인 CEO가 기업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기도 하지만, 잘못된 판단으로 기업에 큰 손해를 입히기도 때문이다. 주주들은 주주행동주의를 통해 이를 견제하고, CEO가 과도한 독단과 경영 방향성에 대한 전환 의.. 2023. 3. 12.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48"네 마녀의 날" 네 마녀의 날(Quadruple witching day) 정식 명칭은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3, 6, 9, 12월 둘째 주 목요일에, 미국은 3, 6, 9, 12월 셋째 주 금요일에 발생한다. 이날은 시장 변동성이 커지기 때문에 주식 투자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특히 예의주시하는 날이다. "마녀(파생상품)가 심술을 부린다"는 뜻으로 "네 마녀의 날"이라 부르기도 한다. 선물/옵션 동시만기일이란? 선물과 옵션은 특정 날짜(만기일)에 사거나 팔기로 약속되어 있다. 따라서 미리 정해둔 특정 날짜, 즉 만기일이 되면 선물/옵션과 관련된 주식들이 오가고, 시장 상황에 따라 매수 물량이 많을 수도 있고, 매도 물량이 많을 수도 있다. 일명 '네 마녀'라고 불리는 선물/옵션은 총 네 종류가 있.. 2023. 3. 8.
'신용점수' 빠르게 올리는 방법! 신용등급 올릴 수 있어요! 신용점수는 항상 미리 관리하는 게 방법이다. 신용점수는 떨어질 때는 바로 하락하고 오를 때는 더디게 오르기 때문이다. 중요한 대출을 계획한다면 적어도 6개월 전부터는 신용점수를 관리해야 한다. 모든 방법에는 전략이 중요하듯 신용점수 관리도 전략이 중요하다. 실현 가능한 전략을 철저히 짠 후, 꾸준히 관리하면 실제로 좋아질 수도 있다. 자산이 많다고 신용점수 상위 1%는 아니다. 개인의 신용생활을 평가하는 점수이기 때문에 소득과 재산, 직장 등의 정보는 활용하지 않는다. 단순히 자산이 많다고 상위 1%가 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신용회복 단계까지 갔던 저신용자들이 2년 정도 성실하게 관리한 덕분에 신용평가사 모두 1000점을 받은 사례들이 있다. 1000점이 된다고 해서 금융생활에 눈에 띄는 장점이 있는 것.. 2023. 3. 7.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48"모라토리엄" 모라토리엄(Moratorium) 의미 라틴어로 지체하다는 의미인 'morari'에서 유래되었다. '국가 단위의 대외채무에 대한 지불유예'를 의미한다. 한 마디로 말해서 지금은 돈 못 주지만 나중에 줄 테니까 기다리라는 뜻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지자체)가 외부에서 빌린 돈에 대해 일방적으로 만기에 상환을 미루는 행위를 말한다. 모라토리엄 상황 기업이나 개인이 파산이나 지불유예를 선언하는 것과 달리 국가의 이 같은 지불거부는 그 후유증도 한층 심각하다. ○ 국가의 경우 통화가치가 급락 ○ 실물경제에도 심대한 타격을 ○ 국가신인도에도 장기간 부정적인 영향이 이러한 이유 때문에 어떤 나라든 모라토리엄은 가능한 최후의 카드로 남겨둔다. 국제통화기금(IMF)을 위한 국제금융기구의 활동도 채무상환 유예라는 파국을 막는.. 2023. 3. 3.
'파킹통장' 하루만 맡겨도 이자가 들어온다?! 파킹통장이란? Parking(주차)와 통장의 합성어이다. 차를 주차하듯 언제나 돈을 넣었다 뺄 수 있고, 금리도 상대적으로 높은 통장들을 말한다. 기존엔 CMA 정도가 파킹통장 역할이 가능했지만, 최근에는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상시입출금에 예금자보호도 되면서 높은 그림을 주는 상품들이 늘고 있다. 2023년 2월 기준 인터넷전문은행은 2%대, 저축은행은 3%대이다. 파킹통장을 이용하는 이유 ○ 금리가 오르면서 경기 변동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상황이 언제 급변할지 모르니 투자자들은 예적금이나 주식, 채권 등에 묶어두기보다 언제라도 돈을 쓰기 위해서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고, 하루라도 맡겨두면 이자가 붙기 때문이다. ○ 또 다른 이유로는 2010년대 중후반부터 금리를 더 높게 주는 인터넷은행들이 생기고 나서.. 2023. 3.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