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50

'금리' 어떻게 정해질까? 금리란? - 원금에 지급되는 기간당 이자 비율이다. 쉽게 말해, 금리가 높을수록 내야 하는 이자가 많고, 금리가 낮을수록 내야하는 이자가 적다. 금리가 정해지는 기준 대출금리= 기준금리+가산금리-우대금리로 정해진다. 기준금리 은행에서 대출을 결정할 때는 기준이 되는 금리이다. 시중은행과 특수은행 등 총 11개 은행에서 제시한 만기 금리 중 가장 높은 금리와 가장 낮은 그림 각각 3개씩 제외 후 평균을 낸 가격이다.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29"#기준금리" 기준금리(Base rate)란? 기준금리란 중앙은행이 다른 금융기관과 거래할 때 기준으로 삼는 정책 금리로,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 증권(RP) 매매,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black-egg-roll.com - 기준금리가.. 2023. 2. 20.
'아트테크(Art-Tech)'알아보기 아트테크란? - 아트와 재테크의 합성어로, 미술작품에 투자하는 행위로 미술품 감상보다 수익 실현에 초점을 맞춘 격이다. '조각투자' 혹은 '분할소유'라고 불린다. - 최근 주목받는 재테크로 하나의 그림을 많은 사람이 공동 구매하여 수익을 나누는 형식이다. - 보통 예술품들은 고액이라 투자하기 어려운데, 최근 공동구매 플랫폼이 생기면서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해졌다. - 최근 좋지 않은 경제상황으로 인해 안정적인 실물 자산에 투자하려는 수요가 늘면서 미술작품 투자도 늘어난 것으로 추측된다. 여기에 소액투자까지 가능해지면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미술작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어떻게 투자 할까? -공동구매 플랫폼에서 투자가 가능하다. - 그림에 투자한 사람들에게 그림의 지분을 나누고 그림을 팔거나, 미.. 2023. 2. 17.
'청약' 1순위 어떻게 되는 걸까? 청약 신청 조건 - 최초 입주자 모집 공고일 기준 해당 주택건설지역이나 인근지역에 살고 있는 만 19세 이상으로 청약통장에 가입한 사람 - 단, 세대주인 미성년자(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부모 사망 등으로 형제·자매를 부양하는 경우)도 청약을 신청이 가능하다. '청약홈'을 통해 자세한 청약자격 확인과 주택 소유 확인, 공공지원 민간임대 신청과 경쟁률 확인 가능하다. 주택청약통장뿐만 아니라 청약에 관한 모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청약홈 www.applyhome.co.kr 지역에 따라 다른 조건 - 청약을 비롯한 부동산 제도는 규제지역이냐 아니냐에 따라 요건이 달라진다. - 부동산 시장 침체를 완화하려는 정부의 제도 개편에 따라 2023년 1월 기준 전국에서 서울 강남·서초·송파 일명 '강남 3구'와 용산구.. 2023. 2. 16.
주목받는 재테크 '리셀(Resell)' 알아보기 리셀(Resell)이 뭘까? 물건을 구매해 다시 파는 행위를 말한다. - 요즘 소위 말하는, MZ세대 사이에서 유행이다. 수요가 많거나 희소성 있거나 인기 있는 상품을 구한 뒤, 기존 가격에 프리미엄을 붙여 파는 재테크 리셀테크(리셀+재태크) 가 유행이다. - 보통 우리가 생각하는 고가의 명품들이나 한정판 신발등이 리셀 되는 것이 아니라, 위스키 병, 명품 브랜드 쇼핑백, 명품 시계 브랜드 박스 등도 리셀 대상이되면서 시장 규모만 1조원에 이른다. - 리셀을 하는 사람을 '리셀러', 리셀로 제품이 판매되는 가격을'리셀가'라고 한다. 이때 리셀가는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협의를 통해 정해진다. 왜 유행일까? 저축, 주식, 부동산 등을 통해 큰 돈을 버는 게 가능했던 부모 세대와 달리 젊은 세대는 큰 소득을 .. 2023. 2. 15.
'집' 살 때, 가지고 있을 때, 팔 때 알면 좋은 세금 우리는 물건을 하나 구매할 때도 세금을 낸다. 이처럼 물건 하나하나에 종류나 목적에 따른 세금이 있는 것처럼 집이나 부동산 또한 목적에 따라 납부하는 세금이 다르다. 집을 살 때, 가지고 있을 때, 팔 때 어떤 세금이 있는지 알아보자! 취득세 - 살 때 부동산을 취득했거나, 집을 사게 되는 경우 내는 세금 기존 집 주인에게 집을 사거나, 신축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상속 또는 증여를 통해 집을 받았을 때도 취득세를 납부한다. 과거에는 취득세와 등록세를 따로 납부하였는데, 2011년부터 함께 내기 시작해 '취등록세'라고도 한다. 집 가격과 , 1주택자인지 다주택자인지에 따라 세율이 다르다. 위택스에서 취득세 계산이 가능하다. 지방세정보 > 지방세미리계산해보기 > 취득세(부동산) 필수항목 는 필수 입력항목입.. 2023. 2. 14.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44"블록딜" 블록딜(Block deal) 주식을 보유한 '큰손(대주주)'들이 지분을 대량으로 매도할 때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치치 않도록 장 개시 전이나 장이 끝난 후 거래하는 행위를 한다. 우리말로 쉽게 말하자며 '시간 외 대량매매'를 의미한다. 블록딜에선 매도자가 사전에 매도 물량을 정해두고 이를 인수할 매수자를 확보한 뒤 시간 외 매매로 거래를 진행한다. 이때 '큰손'들은 증권사에 의뢰해 매수자를 찾는데 보통 대량의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이 대부분이다. 거래 시 주식 가격은 거래 전일종가나 당일종가를 기준으로 책정하는데, 시가 대비 5~8% 할인한 가격으로 거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블록세일이라고도 부른다. 블록딜이 주가에 끼치는 영향 유통주식 수 증가로 인한 가치 하락 - 주식 시장.. 2023. 2. 1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