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50

우리 생활속에 자리 잡은 #핀테크 개념 정리 우리는 온라인 뱅킹을 시작으로 접하기 어려웠던 금융을 인터넷의 발달로 쉽게 접하게 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핀테크'라는 기술의 발전으로 간단한 결제를 시작해 대출까지 손쉽게 앱으로 간단하게 처리가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단어는 어렵지만 알고 보면 쉬운 '핀테크'에 대한 개념과 종류들을 알아보도록 하자! 핀테크(FinTech 또는 Financial Technology)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모바일, 빅 데이터, SNS 등의 첨단 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한다. 모바일을 통한 결제 · 송금 · 자산관리 · 크라우드 펀딩 등 금융과 IT가 융합된 것이다. 새로운 IT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금융기법과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기반.. 2022. 9. 13.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어떤 곳일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8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다시 크게 올릴 것이라는 데 무게가 실리면서, 달러가 연일 상승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시장에선 원·달러 환율이 1400원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지난달 열린 잭슨홀 미팅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을 목표 수준까지 안정시키기 위해 금리를 계속 올리겠다는 매파적 발언을 내놓으며 논란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요즘 미국 증시 뉴스나 환율 뉴스가 나오면 꼭 등장하는 곳이 있다. 연방준비제도. 전 세계 금융 시장의 방향성을 정하는 곳이자, 세계 경제의 수장으로 여겨지는 곳이기도 하다. 세계 금리의 기준의 중점이 되는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는 어떤 곳이고.. 2022. 9. 8.
미국 증시 새로운 주자의 등장 #MATANA 새로운 주자들이 나타났다. 한국에서도 대부분 익숙한 기업들이다. 앞으로 'MATANA'로 묶인 기업들이 어떤 가치가 있는지를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자! Constellation Research의 수석 분석가이자 창업자인 Ray Wang은 Yahoo Finance Live에서 "Big Tech 푸드 체인의 선두에 누가 있는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MATANA(Microsoft(MSFT), Apple(AAPL), Tesla(TSLA), Alphabet(GOOG, GoOGL), Nvidia(NVDA), Amazon(AMZN) 등 MATANA는 Meta(META)와 Netflix(FLN)를 추가하면서 FAANG를 업그레이드한 것이라고 Wang은 주장했다. 2013년 CNBC '매드머.. 2022. 9. 6.
#부동산 용어2. 취득세 VS 양도소득세 취득세 취득세는 부동산·차량·기계장비·항공기·선박·입목·광업권·어업권·양식 업권·골프회원권·승마회원권·콘도미니엄 회원권·종합 체육시설 이용 회원권 또는 요트회원권을 취득한 자에게 부과하는 세금을 말한다. 취득세는 지방세 중의 하나로, 재산권을 취득하는 행위에 대해 과세하는 유통세적 성격의 조세라 할 수 있다. 취득세율은 취득한 재산의 가격을 기준으로 하며, 2016년 현재 유상승계취득의 세율은 4%이다. 다만 주택의 유상 거래일 경우는 취득가액에 따라 1%~3%의 세율을 적용하며, 고급주택/별장/골프장 등 사치성 재산의 취득은 중과기준세율(2%)의 4배를 더한 세율을 적용한다.(즉 12%) 주택도 농지도 아닌 부동산, 예를 들어 빌딩이나 오피스텔의 경우 4%의 세율을 부과하는데, 오피스텔은 자가 거주 목.. 2022. 9. 6.
새로운 세금의 등장! #디지털세(Digital Tax) 누구나 세금은 내기 싫어한다. 나에게 돌아오는 혜택이 없는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가 쓰는 모든 것에 세금이 붙어있기 때문에 세금을 내면서 살아가고 있고, 내가 쓰는 세금을 내기 위해 돈을 벌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우리는 세금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여기서 또 새로운 세금이 도입되려고 한다. 우리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인터넷 즉, 디지털세를 도입하려고 한다. 어느 나라든 현재 인터넷 기업을 통하여 일정 요금을 내면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세금을 내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여기서 또 우리가 애용하는 검색사이트, SNS, OTT등에도 각각 세금을 부과하려 한다. 정당한 세금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결국 그 끝에 피해는 결국 소비자의 몫이기 때문에 이 디지털.. 2022. 9. 5.
#부동산 용어1. 실거래가 VS 기준시가 VS 공시지가 최근 전국적으로 집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추세이다. 지난 5년간 가파르게 상승한 주택 가격이 이미 고점을 찍고, 최근 금리 인상으로 인한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주택 구입 수요가 줄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거래는 크게 감소하고 있는 반면 서울 공시지가는 작년 대비 11.54% 상승했다. '실거래가', '기준시가', '공시지가' 모두 부동산 가격을 지칭하는 용어인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자! 실거래가는 말 그대로 실제로 거래된 가격이다. 이는 매도인이 원하는 가격인 '호가'와 다르고, 현재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을 뜻하는 '시가'와도 다른 개념이다. 실거래가는 양도소득세(재산을 팔아 생긴 차익에 대한 세금) 산정 기준이 되는 부동산 가격인 만큼 정부는 2006년부터 실거래가를 관할 세무서에 신고하도록.. 2022. 9.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