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0 美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IRA)' 그 영향은? '인플레이션 감축법? 미국 현지 시각 8월 7일 기후변화 대응 등을 위한 투자와 법인세 인상 등의 내용이 담긴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가결 처리하였다. 현지 외신에 따르면 755페이지에 달하는 이 법안은 4300억 달러(약 588조 3550억 원) 규모의 정부지출 안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의료 보장 범위를 넓히기 위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미국 정부는 에너지 안보 및 기후변화 대응에 3690억 달러를 투자하고 이를 대비하는 목적으로 대기업에 최소 15%의 법인세를 부과하고 세무조사를 강화하는 내용도 포함되었으며, 미국 전 국민건강보험에 640억 달러를 투입한다. 미국에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추진했던 '더 나은 재건 법안(BBB)'의 축소판으로 평가된다. 바이든 대통령은 성명을 통하여 “이 법은 국민이 처방.. 2022. 8. 9.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5 "#인페션" 인페션이란? 인플레이션(inflation)과 경기침체(recession)의 합성어로 인플레이션이 먼저 발생한 뒤 경기침체가 일어난 상황을 지칭한다. 미국 예일대 교수였던 유명 경제학자 로버트 트리핀(Robert Triffin, 1911~1993)이 처음 사용한 용어이다. 트리핀은 1982년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된 '서유럽 우선순위'를 주제로 한 연설에서 통상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이 함께 나타나는 상태를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라 말하지만, 인플레이션 이후에 경기침체가 동반된다는 상황에서 인페션이 더 나은 표현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트리핀은 '트리핀 딜레마(Triffin Dilemma: 미국이 경상수지 적자와 기축 통화인 달러의 신뢰 유지 사이에서 진퇴양난에 빠지는 상황)라는 단어를 .. 2022. 8. 8.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4 "#스태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이란? stagnation(경기침체)과 inflation(물가상승)의 합성어로, 거시경제학 측면에서 고 물가상승과 실직, 경기 후퇴가 동시에 생겨나는 경우를 지칭한다. 상황이 더 심한 경우 '슬럼프 플레이션'이라고도 말한다. 경제학에서 스태그플레이션 또는 경기침체 인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 지수가 높고, 경제 성장 지수는 낮으며 실업률은 높은 상태가 유지는 상황을 말한다. 이 같은 상황은 경제 정책에 딜레마를 야기시키는데, 낮은 인플레이션을 의식하는 행위는 실업률을 악화시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스태크플레이션의 발생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용어는 침체와 인플레의 상징으로, 영국에서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황에 처음 만들어졌다. 영국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인플레이션을 경험하였다. 1960년.. 2022. 8. 7.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3 "#그린플레이션" 그린 플레이션이란? 친환경을 뜻하는 '그린(green)'과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성하여 만든 신조어이다. - 인류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노력할수록 전체적인 비용이 상승하는 역설적인 상황을 일컫는다.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산업을 규제하면서 필수 원자재의 생산이 어려워지고, 친환경 정책에 따른 친환경 관련 원자재 공급 부족으로 인하여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고, 생산 감소가 이어지면서 그에 따라 경제 전체에 걸쳐 물가상승이 발생하는 현상을 지칭한다. 그린 플레이션 현재 상황 - 2015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감축하는 파리 기후변화 협약이 체결된 이후 세계 각국은 2050년 전후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하여 화석연료 억제와 신재생에너지 확대 .. 2022. 8. 4. 이전 1 ··· 34 35 36 37 3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