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양적완화3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23"#헬리콥터 머니" 헬리콥터 머니(Helicopter money)란? 돈의 유통량을 늘리기 위한 비전통적 통화정책이다. 1969년 미국의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이 처음 주장하였으며, 전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 벤 버냉키를 비롯해 아데어 터너 전 영국 금융감독청장,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브리지워터 창업자인 레이 달리오 등이 도입을 주장한 바 있다. 경기 침체를 해결하려면 헬리콥터에서 돈을 뿌리듯 중앙은행이 현금을 직접 공급하는 게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에게 직접 돈을 주기 때문에 국민을 위한 양적 완화(QE for people)라고도 부른다. 중앙은행이 찍은 돈을 전 국민에게 일정 금액씩 계좌로 입금해 주거나, 유효기간이 명시된 상품권을 배포해 단시간 내 소비를 활성화시키거나 정부에 직접 돈을 준 후 재정 정.. 2022. 10. 13.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21"#테이퍼링" 테이퍼링(Tapering) 은 ‘ 점점 가늘어지다’, '끝이 뾰족해지다는 의미로, 마라톤이나 수영 선수 등 지구력이 필요한 운동선수들이 중요한 시합을 앞두고 훈련량을 점차적으로 줄여나가는 과정을 말한다. 테이퍼링을 경제시장에서 용어로 쓰이고 있는데, "양적완화"의 반대되는 말로 쉽게 말해 시장에서 풀던 돈을 줄여나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20"#양적완화" 미국 중앙은행은 코로나19의 상황으로 인한 이례적인 양적 완화와 제로 금리 정책이 자산 버블을 만들었다고 지적이 나오고 있다. '양적완화란 이례적인 정책으로 쉽게 말해 금리를 더 내릴 수 black-egg-roll.com 테이퍼링이 어떤 의미인지, 어떤 사례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테이퍼링이란? 연방준비제도(Fed)가 .. 2022. 10. 7.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20"#양적완화" 미국 중앙은행은 코로나19의 상황으로 인한 이례적인 양적 완화와 제로 금리 정책이 자산 버블을 만들었다고 지적이 나오고 있다. '양적완화란 이례적인 정책으로 쉽게 말해 금리를 더 내릴 수 없는 상황에서 시중에 돈을 공급한다는 의미이다.' 양적완화는 어떤 의미인지, 어떻게 돈을 공급하는지, 한국, 미국, 일본 사례 등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자. 양적 완화란? ‘중앙은행의 정책으로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부양 효과가 한계에 봉착했을 때 중앙은행이 국채 매입 등을 통해 유동성을 시중에 직접 푸는 정책’을 의미한다. 금리중시 통화정책을 시행하는 중앙은행이 정책금리가 0%에 근접하거나, 혹은 다른 이유로 시장경제의 흐름을 정책금리로 제어할 수 없는 이른바 유동성 저하 상황 하에서 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함으로써 중앙은행.. 2022. 10. 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