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종합소득세2 '집' 살 때, 가지고 있을 때, 팔 때 알면 좋은 세금 우리는 물건을 하나 구매할 때도 세금을 낸다. 이처럼 물건 하나하나에 종류나 목적에 따른 세금이 있는 것처럼 집이나 부동산 또한 목적에 따라 납부하는 세금이 다르다. 집을 살 때, 가지고 있을 때, 팔 때 어떤 세금이 있는지 알아보자! 취득세 - 살 때 부동산을 취득했거나, 집을 사게 되는 경우 내는 세금 기존 집 주인에게 집을 사거나, 신축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상속 또는 증여를 통해 집을 받았을 때도 취득세를 납부한다. 과거에는 취득세와 등록세를 따로 납부하였는데, 2011년부터 함께 내기 시작해 '취등록세'라고도 한다. 집 가격과 , 1주택자인지 다주택자인지에 따라 세율이 다르다. 위택스에서 취득세 계산이 가능하다. 지방세정보 > 지방세미리계산해보기 > 취득세(부동산) 필수항목 는 필수 입력항목입.. 2023. 2. 14. 연말정산 내역 빠뜨렸다면? 이렇게 하세요! 매년 연초 직장인의 필수사항 연말정산! 세세하게 챙긴다고 해도 내역들이 빠지는 경우가 있고, 내가 알지 못한 부분을 나중에 알아채는 경우도 있다. 그럴 땐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경정청구 납세의무자가 세금을 더 냈거나 잘못 낸 경우 돌려달라고 요청하는 것! 연말정산 신고 기간 내에 증빙서류를 제출을 못했거나, 세금이 제대로 환급되지 못했다고 생각될 때 이용하는 제도이다. 연말정산 신고 이후 보정기간 3개월이 지난 후 신청이 가능하다. 납세 신고를 한 날부터 5년 이내에 청구해야 한다. 정부는 경정청구를 받은 날로부터 2개월 이내에 처리하여 세금을 환급해줘야 한다. 누가 사용하면 좋을까? 중도 퇴사자 보통 직장에서 연말정산을 함께 진행한다. 하지만, 중도에 퇴사하는 경우 일한 기간 동안의 연말정산을.. 2023. 1. 2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