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50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11 "#피크아웃" 피크아웃이란? 부정적인 의미! 영어로 피크아웃(peak out) 은 '정점을 찍고 하락 기미를 보인다'는 뜻이다. 경기가 고점을 찍고 하락국면에 들어서는 상황이나 주식에서 고점을 찍고 하락을 목전에 둔 기업들을 묘사할 때 사용한다. 각종 증권사 리포트나 경제뉴스에 단골로 쓰이는 용어이다. 특정 기업이나 산업의 호황이 꺾일 것으로 보이거나, 물가상승이나 경기 회복세, 각종 지수가 고점에 도달한 것으로 예상되는 때에도 피크아웃 논라이나 우려 등에도 많이 쓰인다. \ 피크아웃이라는 단어는 한동안 쓸 일이 없었다. 세계경제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장기 불황에 빠졌고, 디플레이션 공포가 불어닥치게 되었다. 그러나 침체의 끝이 보이지 않던 금융시장을 되살리는 것은 역설적이게도 코로나19다. 전대미문의 역병에 각.. 2022. 8. 18.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10 "#그리드플레이션" 그리드플레이션은? 탐욕을 의미하는 'greed'와 물가상승 'inflation'의 합성어로, 대기업들이 탐욕으로 상품·서비스 가격을 올려 물가상승을 가중시킨다는 의미의 용어이다. 2022년 미국의 물가가 40여 년 만에 최악의 수준으로 치솟자 집권 여당인 민주당 일각에서 대기업의 탐욕이 인플레이션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하며 해당 용어가 거론되고 있다. 기업들의 탐욕일까? 코로나19 팬데믹 상황과 러시아 우크라이나 인한 공급난 등으로 식량과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면서 과도한 인플레이션 촉발되자, 대기업들이 시장지배력을 앞세워 원가 상승 요인 이상으로 상품 가격을 부풀려 이득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이 높은 물가상승률 틈 타 가격을 인상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이른 인지하기 어려운 부문이다. 반면, 그리.. 2022. 8. 17.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9 "#소득주도성장" 소득주도 성장이란? 문재인 정부의 핵심 경제 정책! 노동자와 가계의 임금과 소득을 늘리면 소비가 증가하면 현재 수출 대기업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한국의 경제구조를 가계를 중심, 근로소득자를 중심으로 기업 투자와 생산이 확대되어 소득 증가의 선순환을 만들어내 경제성장이 이루어지는 주장이다. 포스트 케인지언(post-keynesian) 경제학자들의 임금주도 성장론(wage-lde-growth) 근거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으로 대기업의 성장에 따른 임금 인상 등의 낙수효과보다 근로자의 소득을 인위적으로 높여 경제성장을 이끈다는 것이 핵심인 정책이다. 한편, 소득주도성장에 대하여 국내에서는 서강학파와 학현학파가 그 필요성을 가지고 공방을 펼치고 있다. 서강대 교수 출신들이 주축이 .. 2022. 8. 16.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8 "#킹 달러" 킹 달러? 달러의 강세! 달러의 강세 현상을 이르는 말로, 특히 2022년 들어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가파른 정책금리 인상과 글로벌 경기침체 위협으로 인한 달러 가치의 급등을 가리키는 말로 자주 인용되고 있다. 이처럼 달러 가치 급등은 2022년 글로벌 인플레이션 국면에서 미국 Fed가 금리 인상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면서, 세계의 자금이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달러로 몰려들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22년 달러 가치는 20년 만에 최고로 뛰었는데, 이러한 달러 강세를 가리켜 기축통화를 넘어 ‘슈퍼 달러’, ‘강 달러’, ‘킹 달러’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일부의 평가까지 나오고 있다. 달러의 유래 미국의 달러는 본래 보헤미아(현재의 체코) 지방에서 쓰던 탈러(Thaler)에서 유래된 것으로, 미국은.. 2022. 8. 13.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7 "#ESG" ESG란? 기업의 성과를 측정함에 있어 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제외한 친환경(environment), 사회적 기여(social), 투명한 지배구조(governance) 등의 분야에서의 기업성과를 지칭한다. 재무적인 요소에서 보이지 않는 기업의 사회적 활동을 측정하여 기업의 계속 경영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지표이자 기준으로, 유엔 사회책임투자 원칙(UN PRI)에서 투자의사 결정 시 고려하도록 하는 핵심 평가 요소다. 유럽과 미국 등 일부 선진국의 경우 거래소 상장 규정에 비재무적 정보 공시를 제도화하고 있다. 재무성과 이상으로 비재무적 성과를 중시하는 경영은 유럽 국가들에서 먼저 시작하였는데, 유럽지역 국가에서는 공적기구가 중심이 되어 비재무적 성과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기업들은 제시된 기준에.. 2022. 8. 12.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6 "#크립토 윈터" 크립토 윈터란? 크립토 윈터는 '가상자산 겨울'이라는 의미의 단어로, 가상자산의 가격이 급락하는 데에서 끝나지 않고 시장에서 자금이 유출되어 거래량이 장 기간 동안 저조해지는 상황을 말한다. 처음 크립토 윈터가 발생한 상황은 가상자산 버블이 붕괴된 2018년 1월부터 1년여간 발생하였다. 이 기간 동안 가상자산 시장 합산 시가 총액이 80% 이상 증발하면서 극심한 침체 상황이 이어졌다. 고공행진을 지속하던 2021년에는 중국이 가상자산 채굴 단속을 강화시키고 금융기관의 가상자산 거래 및 펀드 관여를 금지한 것을 시작으로 각국의 가상자산 규제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창업자의 비트코인 결제 잠정 중단 발표 등이 맞물리면서 가상자산의 대표 격인 '비트코인'의 가격이 급락하였다. 비트코인 가격은 2021년 4월 .. 2022. 8.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