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150 론스타와 한국, 끈질긴 악연의 시작 론스타 펀드는 1989년 미국 댈러스에서 처음 설립된 부동산 투자 전문 헤지 펀드(HEDGE FUND)다. 부동산에만 투자하며, 아시아에서는 태국, 일본, 한국에만 투자하고 있다. 대한민국에는 2000년대 초중반에 발생한 사회, 경제적 사건인 론스타게이트로 알려졌다. 극동건설 이외에 외환은행 강남파이낸스센터 등의 기업이나 자산을 구입한 후 매각한 바 있다. 극동건설 인수 후 매각 논란 극동건설의 경영난 극동건설은 1990년대 중반까지 국내 경기 성장과 함께 크게 성장한 굵직한 건설기업들 중 하나이며 1976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그러나 1997년 외환위기를 겪으며 극동건설을 비롯한 여러 국내 회사의 영업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영업상황이 심각하게 악화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1998년 1월 당좌거래가 .. 2022. 8. 31.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16 "#랠리" 랠리란? 스포츠에서 쓰이는 용어로 배구뿐 아니라 탁구, 배드민턴, 테니스 등 스포츠에서 '랠리(rally)'는 공을 주고받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이 용어가 지난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될 때 '허니문 랠리', 여름철 '서머 랠리' 등 경제 용어로 활용된 경우가 있다. 이에 '랠리'가 어떤 의미를 담았으며, 파생된 용어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경제용어로서 '랠리'는 증시가 약세에서 강세로 전환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즉, 주가가 가라앉은 상황에서 큰 폭으로 뛰었을 때 '랠리'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고, '랠리' 앞에 붙은 용어는 주가가 오르게 된 원인을 담고 있기도 하다. '허니문 랠리'는 대통령이 당선돼 새 정부가 출범하는 전후로 주가가 일시적으로 오르는 것을 신혼여행에 빗댄 표현이다... 2022. 8. 29.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15 "#블록체인 트릴레마" 블록체인 트릴레마란? 트릴레마는 일반적으로 삼중고, 삼각 딜레마, 삼중 딜레마를 뜻하는데, 최근에는 블록체인 시장에서 자주 쓰이고 있는 용어이다. 트릴레마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문제가 서로 얽혀 있어 서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을 만드는 이른바 진퇴양난의 상황을 말한다. 경제에서는 하나의 정책 목표를 이루려다 보면 다른 두 가지 목표를 이룰 수 없는 상태로 흔히 쓰였다. 그리스어 숫자 3을 의미하는 'Tri'와 명제를 의미하는 단어 'Lemma'가 합쳐져 만들어졌다. 블록체인에서 트릴레마란 확장성(Scalability), 탈중앙화(Decentralization), 보안성(Security)의 세 가지 문제는 한 번에 해결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현재 1세대 암호화폐 비트코인과 2세대 암호화폐 이더리움이 암호.. 2022. 8. 26. #01. 주식이 뭘까? 현재 주식이나 코인 투자가 붐이지만 우리는 주식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떤 역사가 있는지 알지 못한다. 누구나 주식이나 코인을 투자하는 시대에 주식에 대하여 알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주식의 의미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주식이란 무엇일까? 주식(株式, share, stock)이란 기본적으로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이자, 사원인 주주가 주식회사에 출자한 일정한 지분 또는 이를 나타내는 증권을 말한다. 주식회사의 지분인 주식과 인적 회사의 지분은 모두 사원의 지위를 의미한다는 점에서는 같으나, 주식은 지분이 균등한 비율적 단위로 세분화되고 1인이 복수의 지분을 갖는다는 점에서(지분 복수주의) 유한회사의 지분과 같고, 각 사원이 1개의 지분을 갖고(지분 단일 주의) 다만 그 지분의 양이 .. 2022. 8. 26.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13 "#스킴플레이션" 스킴플레이션이란? 인색 인플레! 물가는 인상되었지만 오히려 상품이나 서비스의 질이 떨어는 현상을 말한다. '인색하게 굴다'라는 의미의 스킴프(skimp)와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이다. 미국 연방의회 경제위원회의 앨런 콜 선임 이코노미스트가 고안한 용어이다. "스킴플레이션이 현상이 경제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지만 정부가 산출하는 물가 통계에선 이런 현상이 반영되고 있지 않아 문제"라고 지적하기도 하였다. 주위에서 보이는 스킴인플레이션 이러한 상황은 주위에서 쉽게 경험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예시로 국내 일부 패스트푸드 업체들이 수급 문제를 이유로 햄버거에서 양상추를 빼고 양배추를 제공한 것을 들 수 있다. 해외에서는 디즈니월드에서 동일 가격의 티켓을 구매했어도 고.. 2022. 8. 19.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12 "#히트플레이션" 히트플레이션이란? 폭염 인플레! 열을 뜻하는 '히트'(heat)와 물가상승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신조어이다. 폭염으로 인하여 식량 가격이 급등하는 현재 상황을 뜻하는 용어이다. 올해 전 세계는 기록적 폭염에 시달리면서 작물 수확량이 예년보다 크게 줄 것으로 보이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하여 세계 최대 밀· 식량 위기가 커진 상황에서 식탁 물가를 위협하는 요인이 추가된 상황이다. 히트플레이션으로 인한 나라별 상황 유럽은 예년 기온을 훌쩍 웃도는 폭염에 몸살을 앓고 있다. 프랑스와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에서는 섭씨 40도 이상의 기온으로 곳곳에 산불이 발생해 주민들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고, 영국에서도 40도가 넘는 이례적인 불볕더위가 지속돼 정부가 물 사용 제안을 권고했.. 2022. 8. 18. 이전 1 ··· 20 21 22 23 24 25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