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시사.경제용어 알아보기 :)55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44"블록딜" 블록딜(Block deal) 주식을 보유한 '큰손(대주주)'들이 지분을 대량으로 매도할 때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치치 않도록 장 개시 전이나 장이 끝난 후 거래하는 행위를 한다. 우리말로 쉽게 말하자며 '시간 외 대량매매'를 의미한다. 블록딜에선 매도자가 사전에 매도 물량을 정해두고 이를 인수할 매수자를 확보한 뒤 시간 외 매매로 거래를 진행한다. 이때 '큰손'들은 증권사에 의뢰해 매수자를 찾는데 보통 대량의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이 대부분이다. 거래 시 주식 가격은 거래 전일종가나 당일종가를 기준으로 책정하는데, 시가 대비 5~8% 할인한 가격으로 거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블록세일이라고도 부른다. 블록딜이 주가에 끼치는 영향 유통주식 수 증가로 인한 가치 하락 - 주식 시장.. 2023. 2. 10.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43"시뇨리지" 시뇨리지(Seigniorage) 중앙은행이나 정부가 화폐를 실질가치에서 발행비용을 제한 차익, 즉, 화폐를 발행함으로써 얻는 수익이라고 볼 수 있다. 화폐 주조 차익, 화폐 발행 이득, 인플레이션 조세(Inflation Tax)라고도 한다. 중세 유럽의 봉건 영주를 지칭하는 ‘시뇨르(Seigneur)’가 어원이다. 중세 봉건시대의 영주들은 조폐 발행 권한을 이용하여 금·은화에 구리 등 불순물을 섞어 액면가보다 실제 가치가 떨어지는 화폐를 만들어 유통시킴으로써 차액을 챙겼다고 한다. 오늘날에는 화폐 주조권이 각국의 중앙은행에 있는데 우리나라는 중앙은행, 미국은 연방준비제도(Fed)가 통화 발행을 한다. 미국의 달러는 세계적으로 쓰이는 화폐이기 때문에 화폐 발행의 이득이 매우 크다. 만약 미국이 달러의 발권.. 2023. 1. 5.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42"방카슈량스" 방카슈랑스(Bancassurance) 프랑스어로 은행(Banque)과 보험을 의미하는 보험( Assurance)의 합성어다. 은행과 보험회사가 서로 연결되어 일반 개인에게 폭넓은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쉽게 말해, 보험회사가 은행 지점을 보험상품의 판매 대리점으로 이용하여 은행원이 직접 보험상품을 파는 것을 말한다. 보험 상품 판매에 한정되긴 하지만, 넓은 의미로는 은행과 보험사 간의 공동 상품개발이나 종합적인 업무제휴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보험사는 은행의 전국적인 점포망을 통해 판매채널을 손쉽게 넓힐 수 있고, 은행으로서는 각종 수수료 수입을 기대할 수 있으며 부실채권을 방지할 수 있다. 최근에는 금융권의 장벽이 낮아지는 추세에 따라 은행뿐만 아니라 저축은행, 카드사 등과 같은 비은.. 2022. 12. 30.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41"스몰 럭셔리" 스몰 럭셔리(Small Luxury) 경제 불황시기에 비교적 적은 금액으로 명품이나 꼭 가지고 싶은 고가의 제품을 소비하는 행위를 말한다. 큰 지출이 부담스러운 경우, 상대적으로 비싸지 않은 소규모의 명품 소비를 통해 값비싼 제품을 사는 것과 유사한 심리적 만족감을 얻는다. 자기만의 행복과 자기만족을 위해 조금 비싼 소비도 하겠다는 생각 즉, '작은사치'가 인기를 끌고 있다. 립스틱 효과(Lipstick effect)의 연장선 스몰 럭셔리는 립스틱 효과(Lipstick effect)의 개념의 연장선상에 있다. '립스틱 효과'는 1930년대 미국 대공황 시기 경제가 어려워 전체적인 소비가 줄어든 상황에서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상품인 립스틱 매출은 오르는 특이한 현상을 말한다. 경제가 어려워 큰 지출을 하기가.. 2022. 12. 29.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