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시사.경제용어 알아보기 :)55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51"회색코뿔소" 회색코뿔소(Gray rhino) 갑자기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경고로 이미 알려져 있는 위험 요인들이 빠르게 나타나지만 일부러 위험 신호를 무시하고 있다가 큰 위험에 빠진다는 의미를 갖고 있는 용어다. 이 용어는 세계정책연구소(World Policy Institute) 대표이사 미셸 부커가 2013년 1월 다보스포럼에서 처음 발표한 개념이다. 코뿔소가 몸집이 커 멀리 있어도 눈에 잘 띄며 진동만으로도 움직임을 느낄 수 있지만, 달려오면 두려움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못하거나 대처 방법을 알지 못해 부인해 버리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이러한 점에서 예측과 대비가 어려운 사태를 의미하는 '블랙 스완(black swan)'과는 차이가 있다.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32"#블랙스완" 블랙스완(Blac.. 2023. 3. 15.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50"뱅크런" 뱅크런(Bank run) 경제 상황 악화로 금융 시장에 위기감이 조성되면서 은행의 예금 지급 불능 상태를 우려한 고객들이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사태를 뜻한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은행에 돈을 맡긴 사람들이 은행의 재정 건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비관적으로 인식하면 그동안 저축한 돈을 인출하려는 생각을 갖게 된다. 그러면 예금으로 다양한 금융 활동을 하고 거기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은행들로선 당장 돌려줄 돈이 바닥나는 패닉 현상이 닥치게 되는데 이를 뱅크런이라고 한다. 뱅크런에서 유래한 것으로, 펀드 투자자들이 펀드에 투자한 돈을 회수하는 것을 지칭하는 펀드런(fund run)과 투자자들이 앞다퉈 채권을 판다는 본드런(bond run)이 있다. 뱅크런 방지법 뱅크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는 2가지가 있.. 2023. 3. 14.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49"주주행동주의" 주주행동주의(Shareholder activism) 주주들이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를 말한다. 배당금이나 시세차익에만 주력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부실 책임 추궁, 구조조정, 경영투명성 제고 등 경영에 적극 개입해 주주가치를 높이는 행위 등이 이에 속한다. 한편, 주주행동주의자(shareholder activist)들은 이를 실천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주주행동주의 장점 CEO 독단적 행동 견제 주주행동주의는 CEO의 독단적 행동을 견제할 수 있다. 의욕적인 CEO가 기업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기도 하지만, 잘못된 판단으로 기업에 큰 손해를 입히기도 때문이다. 주주들은 주주행동주의를 통해 이를 견제하고, CEO가 과도한 독단과 경영 방향성에 대한 전환 의.. 2023. 3. 12.
슬기로운 경제용어 알기 no.48"네 마녀의 날" 네 마녀의 날(Quadruple witching day) 정식 명칭은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3, 6, 9, 12월 둘째 주 목요일에, 미국은 3, 6, 9, 12월 셋째 주 금요일에 발생한다. 이날은 시장 변동성이 커지기 때문에 주식 투자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특히 예의주시하는 날이다. "마녀(파생상품)가 심술을 부린다"는 뜻으로 "네 마녀의 날"이라 부르기도 한다. 선물/옵션 동시만기일이란? 선물과 옵션은 특정 날짜(만기일)에 사거나 팔기로 약속되어 있다. 따라서 미리 정해둔 특정 날짜, 즉 만기일이 되면 선물/옵션과 관련된 주식들이 오가고, 시장 상황에 따라 매수 물량이 많을 수도 있고, 매도 물량이 많을 수도 있다. 일명 '네 마녀'라고 불리는 선물/옵션은 총 네 종류가 있.. 2023. 3.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