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동산 :)18 #깡통전세. 어떻게 확인하고 대비해야 할까? 깡통전세란? 매매가보다 전세 보증금과 집주인의 주택담보대출 금액 합계가 더 높은 주택을 일컫는 말로, 부동산 시장에서 속어처럼 쓰인다. 통상 전세금과 주담대를 더한 금액이 집값의 70%를 넘어서면 깡통 전세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다. 깡통전세가 생기는 원인은 갭 투자! 수년 전 유행처럼 번진 갭 투자 열풍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앞서 집값 상승기에 저금리 기조에 힘입어 전셋값과 매매 가격의 차이가 적은 아파트를 중심으로 갭 투자가 유행처럼 번졌는데, 현재 금리 인상기가 닥치며 높은 이자를 감당하지 못한 투자자들이 갭투자 물건을 던지며 깡통 전세가 속출하게 된 것이다. 깡통전세의 피해는 세입자가 고스란히 지고 있다. 세입자들은 높아진 전세자금 대출 금리에 허덕이는 데다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우려까지 겪.. 2022. 12. 9. 부동산과 IT의 만남 #프롭테크(Proptech) 프롭테크(Proptech)란? 프롭 테크는 부동산 자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첨단 정보기술(IT)을 결합한 부동산 서비스를 말한다. 2000년대 등장한 인터넷 부동산 시세조회·중개 서비스에서 기술적으로 더 나아갔다. 부동산 중개, 사이버 모델하우스 같은 3차원(3D) 공간설계, 부동산 크라우드펀딩,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건물관리 등이 프롭 테크에 해당한다. 프롭테크의 성장 부동산은 나라마다 법제도가 다르고, 지리적 특성에 따른 지역 시장 참여자들의 비즈니스 관행 등에 차이가 있으며, 이로 인해 부동산에 IT기술이 접목되었을 때 나타나는 변화가 각 나라마다 달라 아직 거대 글로벌 프롭테크 기업이 등장하지는 못하고 있다. 프.. 2022. 11. 10. :) 실거래가 VS 기준시가 VS 공시지가 조회하기 부동산 가격이 요동치는 요즘 예전에는 일일이 발품을 팔아 부동산 가격을 알아보는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요즘은 정부 사이트나 부동산 사이트 등에서 쉽게 조회가 가능하다. 부동산 매물을 알아보고 있거나, 부동산 업체를 방문하기 전에 알아보고 간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실거래가 VS 기준시가 VS 공시지가 조회가 가능한 대표적인 사이트들을 알아보자!! 실거래가, 기준시가, 공시지가가 용어를 확인하고 알고 싶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면 된다. #부동산 용어1. 실거래가 VS 기준시가 VS 공시지가 최근 전국적으로 집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추세이다. 지난 5년간 가파르게 상승한 주택 가격이 이미 고점을 찍고, 최근 금리 인상으로 인한 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주택 구입 수요가 줄고 있 black-egg-rol.. 2022. 10. 26. 부동산 펀드"리츠(REITs)" 리츠(REITs)란? 부동산 투자회사법 제2조 제1호에 따라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 및 부동산 관련 증권 등에 투자·운영하고, 그 수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부동산 간접투자기구인 주식회사를 말한다. 보통 세제 혜택을 받기 위해 부동산 임대수익의 90% 이상을 배당금으로 투자자들에게 돌려주는 구조다. 1960년 미국에서 최초 도입돼, 2000년 이후 유럽 및 아시아로 급속히 확산됐다.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보유 부동산을 유동화하며 기업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해 부동산 투자회사법을 제정(2001.5.7.)하며 도입됐다. 부동산 직접투자는 높은 매입가격 부담으로 소액투자가 쉽지 않은 반면 리츠는 소액투자자에게 우량 부동산에 대한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일반인도 부동산 간접.. 2022. 10. 5.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